촌수과 호칭을 정확하게 가르치는요!
안녕하세요~^^이제 2020년 연말이 다가옵니다~다사 다난했던 올 한해가 지나고 뭔가 마음이 찡~ 하네요 코로나 19에 의해서 정말 힘들었던 한해였다고 생각합니다 2021년 새해가 되면 명절이 올 명절 때 되면 꼭 마음에 될 두개 있습니다.
명절에는 가족이 많이 모이겠죠?그런 때에 내가 부르는 호칭이 과연 옳은지 궁금하지, 또 촌수은 어떤지 등에 대해서 의문을 갖거나 합니다.
그래서 오늘 내가 촌수과 호칭에 대해서 깨끗이 정리하고 줍니다
우리 조상들은 대가족 제도를 통해 가풍과 가훈을 익혔지만 최근 핵가족의 영향으로 자칫 가까운 친척을 어떻게 부르는지, 본인과의 관계는 어떻게 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사실 저도 이렇게 공부하지 않았다면 굉장히 혼란스러웠을 것 같아요 그래서 올바른 마을 수와 호칭을 알려주기 위해 많은 정보를 수집했습니다.
촌수를 묻는 방법
직계 가족의 마을 수는 자신과 대상까지의 대수가 마을 수인 것입니다.
즉, 아버지와 아들은 1대이기 때문에 1촌입니다.
할아버지와 손자는 2대째니까 2촌이 되는 거죠. 방계 가족과의 마을 수는 자신과 대상이 어떤 조상으로부터 갈라졌는지를 먼저 알고 자신과 그 조상의 대수에 그 선조와 대상의 대수를 더해 마을 수가 되는 거죠.즉 ~형제자매는 아버지로부터 갈라졌지만 자신과 아버지는 1대째이고 아버지와 형제자매는 1대째여서 총 2촌입니다.
삼촌과 나는 할아버지로 나뉘었지만 할아버지와 삼촌은 1대이고 할아버지와 나는 2대이기 때문에 모두 3촌이 됩니다.
제 말이 조금 어렵다면~ 위 사진을 참고해주세요^^
이번에는 칭호에 대해서 자세히 살펴볼까요^^증조부 아버지의 할아버지의 증조모 아버지의 할머니 할아버지 아버지의 아버지의 할머니 아버지 어머니 삼촌(숙부)아버지의 형 이모(고모)아버지의 형수 시어머니(삼촌)아버지의 동생 이모(고모)아버지의 의로운 어머니:딸의 남편 아내:아들의 아내 형수:형의 아내 동생:언니의 남편 시누이(매제 외삼촌 형제가, 정숙이와 햄 댄 아줌마 아버지 사촌이다.
할아버지, 할아버지의 동생 조부모(할아버지의 동생:할아버지에 형수에게 조부모의 동생 아줌마, 처남 사이 당숙 아버지의 여섯 마을 형제제도 이모:아버지의 여섯 마을의 아내 사촌:아버지의 조카 존스:아버지의 조카 며느리, 재중 형제:삼촌의 아들 지에죠은스:삼촌의 가질:형, 동생 생가(질부):형 동생 아내당 질:사촌의 아들당 질부:사촌의 아내 종손:조카의 아들 재종 손 정도 알고 있어도 촌수과 호칭을 부를 때는 전혀 어려운 것 같아요^^
우리나라는 정말 호칭도 많네요~ 그렇죠?영어 호칭은 정말 간단한데..이런건 조금은 개선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있네요^^어쨌든 오늘은 촌수라고 부르는 방법에 대해 이야기했습니다.
제 글이 조금이라도 도움이 된다면
다음에 또 좋은글로 찾아뵙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