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초 Lithospermi Radix *주요 효능:피부발진/외상/화상/1.약초명:자초2.사용부위:뿌리3.기원 및 학명:지치Lithospermumerythrorhizon Sieboldet Zuccarini,신강자초 Arnebia euchroma Johnst.또는내몽자초 Arnebia guttata Bunge(지치과 Boraginaceae)의 뿌리(단맛).5. 약성:차가워. 독이 없다(무독).6. 특징: 1) 자근을 자초라고 부른다.
2) 치치의 뿌리를 경자초, 신강자초와 네이멍자초의 뿌리를 연자초라고 한다.
3) 지친 약간 달고 신강자초는 조금 쓰고 떫다.
7. 채취: 봄과 가을에 채취한다.
줄기와 흙을 털어내다.
8. 가공 :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로 구워 말린다.
통풍이 잘되는 건조한 장소에 보관한다.
9. 약초할머니:1) 스스로의 효용은 다양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거나 대소변을 자주 보게 하거나 새싹을 돋운다.
열이 거룩한 것을 없애주기 때문이다.
2) 질은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운 편이다.
단면은 고르지 않고 황백색이다.
3) 껍질은 얇아서 벗겨지기 쉽다.
4) 특유의 냄새가 있다.
10) 한방에서 본 자초의 효능1) 열을 식히고 혈분에 열이 난 것을 치료한다(청열혈청열양혈). 2) 피의 운행을 활발하게 하여 독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활혈해독). 3) 홍역에서 고름이 아직 빠지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홍역불진마진불투). 4) 반진의 색이 아직 검은 상태를 치료한다.
11. 현대의학에서 본 자초 효능 1) 항염증 작용의 일부 주성분인 시코닌(shikonin)은 염증 물질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일부 에탄올 추출물은 항염증 및 아토피 치료 효과가 있다.
2) 항균작용을 자초한 데옥시슈코닌(deoxyshikonin) 성분에 강력한 항균작용이 있다.
3) 항암 효과를 자초한 시코닌(shikonin) 성분이 동물실험에서 혈관 생성 억제를 통해 항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자초 활용1) 자초는 진도 특산품인 홍주의 주요 원료다.
쌀과 일부로 빚은 술이다.
2) 화상과 외상에 의한 상처의 회복을 돕는다.
스스로 염증을 없애고 닭고기를 살릴 수 있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일부를 가루 내어 기름에 섞어 환부에 바르다.
일부를 졸여서 복용해도 좋다.
3)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가 있을 때 일부가 들어간 연고를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
적당량을 졸여서 연고로 만들거나 식물유로 끓여 환부에 바른다.
시중에는 자운고에서 판매되고 있다.
4) 보라색이 나기 때문에 염색약으로 쓰인다.
5) 어린이 탈모증에 스스로 달인 물을 바른다(태평성혜방). 13. 주의사항 1) 채취할 때 빛이 바래기 때문에 물로 씻어서는 안 된다.
2) 대변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설사 증상이 있는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건조가 잘 된 걸로 골라 써야 해.동의보감동호감성한일운평,맛고일운감,무독. 주오달. 통수도 복종창만. 요악창, 협선, 면사, 급소아두창. 성질이 차갑고 납작하다.
맛은 쓰고 달다.
독이 없다.
주로 다섯 개의 황달에 쓴다.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배가 붓고 부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악창·부종·여드름과 소아의 두창을 치료한다.
산야(生山野), 처처유지(處處有之) 즉금염자초야 삼월 채근, 음건, 술세척용 산과 들에서 자라지만 군데군데 있다.
오늘 보라색으로 염색할 때 쓰는 자수야. 3월에 뿌리를 파 그늘에 말린 후 술로 씻어 사용한다.
《본초》
자초 Lithospermi Radix *주요 효능:피부발진/외상/화상/1.약초명:자초2.사용부위:뿌리3.기원 및 학명:지치Lithospermumerythrorhizon Sieboldet Zuccarini,신강자초 Arnebia euchroma Johnst.또는내몽자초 Arnebia guttata Bunge(지치과 Boraginaceae)의 뿌리(단맛).5. 약성:차가워. 독이 없다(무독).6. 특징: 1) 자근을 자초라고 부른다.
2) 치치의 뿌리를 경자초, 신강자초와 네이멍자초의 뿌리를 연자초라고 한다.
3) 지친 약간 달고 신강자초는 조금 쓰고 떫다.
7. 채취: 봄과 가을에 채취한다.
줄기와 흙을 털어내다.
8. 가공 : 햇볕에 말리거나 약한 불로 구워 말린다.
통풍이 잘되는 건조한 장소에 보관한다.
9. 약초할머니:1) 스스로의 효용은 다양하여 피부질환을 치료하거나 대소변을 자주 보게 하거나 새싹을 돋운다.
열이 거룩한 것을 없애주기 때문이다.
2) 질은 단단하지만 깨지기 쉬운 편이다.
단면은 고르지 않고 황백색이다.
3) 껍질은 얇아서 벗겨지기 쉽다.
4) 특유의 냄새가 있다.
10) 한방에서 본 자초의 효능1) 열을 식히고 혈분에 열이 난 것을 치료한다(청열혈청열양혈). 2) 피의 운행을 활발하게 하여 독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활혈해독). 3) 홍역에서 고름이 아직 빠지지 않은 것을 치료한다(홍역불진마진불투). 4) 반진의 색이 아직 검은 상태를 치료한다.
11. 현대의학에서 본 자초 효능 1) 항염증 작용의 일부 주성분인 시코닌(shikonin)은 염증 물질을 억제하여 항염증 효과를 나타낸다.
일부 에탄올 추출물은 항염증 및 아토피 치료 효과가 있다.
2) 항균작용을 자초한 데옥시슈코닌(deoxyshikonin) 성분에 강력한 항균작용이 있다.
3) 항암 효과를 자초한 시코닌(shikonin) 성분이 동물실험에서 혈관 생성 억제를 통해 항암 활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12. 자초 활용1) 자초는 진도 특산품인 홍주의 주요 원료다.
쌀과 일부로 빚은 술이다.
2) 화상과 외상에 의한 상처의 회복을 돕는다.
스스로 염증을 없애고 닭고기를 살릴 수 있는 효능이 있기 때문이다.
일부를 가루 내어 기름에 섞어 환부에 바르다.
일부를 졸여서 복용해도 좋다.
3) 아토피 피부염이나 알레르기가 있을 때 일부가 들어간 연고를 만들어 환부에 바른다.
적당량을 졸여서 연고로 만들거나 식물유로 끓여 환부에 바른다.
시중에는 자운고에서 판매되고 있다.
4) 보라색이 나기 때문에 염색약으로 쓰인다.
5) 어린이 탈모증에 스스로 달인 물을 바른다(태평성혜방). 13. 주의사항 1) 채취할 때 빛이 바래기 때문에 물로 씻어서는 안 된다.
2) 대변을 부드럽게 하는 작용이 있기 때문에 설사 증상이 있는 사람은 복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
3) 건조가 잘 된 걸로 골라 써야 해.동의보감동호감성한일운평,맛고일운감,무독. 주오달. 통수도 복종창만. 요악창, 협선, 면사, 급소아두창. 성질이 차갑고 납작하다.
맛은 쓰고 달다.
독이 없다.
주로 다섯 개의 황달에 쓴다.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배가 붓고 부풀어 오르는 것을 치료한다.
악창·부종·여드름과 소아의 두창을 치료한다.
산야(生山野), 처처유지(處處有之) 즉금염자초야 삼월 채근, 음건, 술세척용 산과 들에서 자라지만 군데군데 있다.
오늘 보라색으로 염색할 때 쓰는 자수야. 3월에 뿌리를 파 그늘에 말린 후 술로 씻어 사용한다.
《본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