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트남으로 화장품 사업 진출(중국은 꽌시(关系), 베트남은 꾸안 헤(Quan hệ))

베트남에 화장품 사업 진출(중국은 곽계), 베트남은 광해(Quan H关)) 이전에 중국 진출을 위해 가신 분이 하신 말씀 중에서 중극은 광시 때문에 고생했던 기억이 납니다.

한국 사람들은 처음 만나서 지연, 학연, 나이를 따져보고 친구의 형인 것, 동생 등 서열을 정해서 소주 한 잔 진하게 마시면 그걸로 관계 정리가 끝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중국인들은 도대체 언제 관계정리가 끝나는지 모른대요. 중국인은 한국인처럼 관계를 정하면 그것은 관계의 1단계에 해당하는 것이고, 이어서 2단계, 3단계까지는 끝나야 관계정리가 끝난다는 거죠.

1단계 신풍우를 처음 만나 새롭게 알게 된 새 친구 2단계 하풍우호적인 관계 좋은 친구 3단계이자 노풍우무진장의 친한 친구로 곤지관계 4단계 준치친구 단계를 넘어 가족 차원의 관계

1. 베트남 베트남은 첫째가 안면, 둘째가 권력이라고 합니다.

중국의 경우에서 보면 권력(공산당)사이에 낄 것 같네요. 중국에서 원활한 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공산당을 끼고 일해야 한다는 말인데 같은 공산 국가니 베트남도 원활한 사업 진행을 위해서 공산당을 짜서 일을 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중국에는 쿠안 시, 베트남에는 쿠안에(Quanḥ가 있는데, 쿠안에 상관이나 인맥을 의미하는 중국의 쿠안 시와 비슷한 개념입니다.

베트남은 1억(9700만명 가까운 인구에 평균 연령이 32.5세로, 대한민국의 평균 연령 41.1세에 비해서 젊은 인재의 비율이 높습니다.

B. 날씨와 피부 1)베트남은 길고 북부, 중부, 남부의 지역별로 날씨 차이가 크다고 합니다.

2)베트남은 한국과 날씨가 많이 다르고, 특히 지성 피부가 많다고 합니다.

3)베트남의 임금 수준은 한국의 1980년대~1990년대 수준에서 북부, 중부, 남부 등의 지역마다 다르지만 노동자의 임금이 보통 한국 원으로 월 임금이 20만원부터. 80만원 정도 한답니다.

4)하노이, 호치민, 다낭 등의 관리직은 월 80만원 정도라고 합니다.

C. 베트남의 문화 1)중국인은 과시 욕구가 강한 것으로 베트남인도 같은 공산권니 과시욕이 강하다고 합니다.

2)공산당의 경우 더욱 자신에 대한 과시욕이 강하고 40만원의 신발도 쉽게 구입한다는 것입니다.

2. 베트남으로의 화장품 사업 진출, 한국 화장품이 동남 아시아에서 인기라고 하네요, 한류 붐에 대한 강한 신뢰를 갖고 진출한 베트남, 하지만 베트남 사람들이 한국산 화장품을 무조건 선호할 것이라는 희망에서 베트남에 진출하고 수많은 한국 화장품이 베트남에 들어와서 사라졌대요. 베트남에서 화장품 사업이 실패한 이유 1)한국인은 보습 화장품을 선호하는 것에 대한 베트남 사람들은 지성 피부라서 우리가 촉촉하고 있다고 느끼는 화장품에 대해서 흔하고 있다고 느끼고 보습에 대해서 이물감을 느낄 것 같아요.2)베트남 현지 문화에 대한 이해 부족과 차별화의 부재(A)디자인 등을 그대로 들여올 경우(B)하이 앤드 상품 전략 없이로. 베트남 화장품 동향 1)수입 화장품의 경우 관세가 높대요(세금이 일정하지 않고), 2)SK2수입 화장품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3)베트남인은 미백과 자외선 차단 화장품을 좋아합니다만, 4)부자는 사람들은 세럼 화장품을 선호한다고 합니다.

3. 베트남에서 화장품 진출 성공 전략가. 네트워크망을 사전에 구축하고 둘 필요가 있습니다.

한류로 한국산 화장품이 잘 팔리지? NO~NO~입니다.

B. 샘플 화장품을 무료로 배포하면 무료로 화장품을 받은 기억이 있어 두번 다시 무료로 받은 무료 화장품은 돈을 주고 사지 않습니다.

(샘플 제공시, 이번만 이 가격에 판매하고 다음은 10%다 받다고 설명이 필요합니다.

)이상”베트남으로의 화장품 사업 진출(중국은 곽)계, 베트남은 곽-케이(쿠안·바)”에 대해서 소개했습니다.

#베트남, #베트남화장품, #광해, #심쿵요, #하오폰요, #라오폰요, #쉰티, #베트남공산당, #베트남날씨, #베트남인피부, #베트남북부, #베트남중부, #베트남문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