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종원골목식당 식당 – 홍제동문화마을식당 3

2020년 1월 101일부터 104일까지 백종원의 골목식당은 서울 서대문구 홍제동 문화마을을 총 4회 방문했다.

포방터시장과 인접한 이 곳은 홍대, 신촌 등 대규모 업무지구로 사람들이 몰리면서 유동인구가 없다.

그래서 골목에 있는 식당에서 촬영을 시작했고, 총 세 곳의 식당에서 솔루션을 받았다.


백종원골목식당-음식-홍제동문화마을
백종원골목식당-음식-홍제동문화마을

색인
유진치킨홍제
대경 볼 간장 수프
정가네 팥칼국수

유진치킨홍제


백종원골목식당-식당-홍제동문화마을-유진치킨홍제


백종원골목식당-식당-홍제동문화마을-유진치킨홍제
백종원골목식당-식당-홍제동문화마을-유진치킨홍제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세무서7길 13
영업 시간:13:00~24:00
휴관일: 첫째, 셋째 월요일
전화번호: 02-394-9300
메뉴 : 닭갈비, 후라이드 치킨, 양념치킨

한 곳에서 16년 동안 노부부가 운영하는 이 식당은 닭고기 전문점으로 삼겹살 국수, 어묵탕 등 밑반찬을 주로 판매한다.

2004년 인수 후 리모델링 없이 그대로 운영됐다.

후라이드 반숙과 골뱅이 양념을 맛본 백종원은 “전형적인 옛날 치킨 맛, 바삭하지도 않고, 캐릭터도 없다”고 평했다.

대부분의 치킨은 싱거운 맛이 나지만 전문점보다는 골뱅이가 더 맛있다고 한다.

주방도 아주 깨끗합니다.

해결책은 대표 메뉴를 파악하고 부족한 맛을 업그레이드해 전체 메뉴를 줄이는 것이다.

반죽이 바삭하지 않은 문제점을 먼저 발견하여 보완하였으며, 양념 방법도 새롭게 추가하였습니다.

또한 다양한 맛의 양념치킨은 물론, 새콤달콤 짭조름한 신메뉴 ‘빨간갈비’도 만들었다.

아직까지도 영업을 하고 있는 유진치킨은 바삭바삭한 후라이드 치킨과 매콤한 갈비 치킨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대경 볼 간장 수프


백종원골목식당-식당-홍제동문화마을-대청완간지국


백종원골목식당-식당-홍제동문화마을-대청완간지국
백종원골목식당-식당-홍제동문화마을-대청완간지국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통통로39길 6, 1층
영업시간 : 11:00~21:00 (브레이크 타임 14:30~17:00 / 라스트오더 20:30)
휴무일 : 매주 일요일
전화번호: 서울시 서대문구 통일로39길 6, 1층
메뉴 : 감자탕, 뼈해장국
기타: 휴식을 포장할 수 있습니다.

부모님이 운영하는 감자탕 전문점입니다.

외식업을 시작한 후 어머니는 거듭 실패를 거듭하며 어려운 상황에 놓이셨습니다.

또한 어머니의 권유로 아들도 따라갔으나 옷차림과 자세가 불량한 모습을 보였다.

간장국을 맛본 백종원은 “맛이 너무 싱거워서 밥이나 술이 생각나지 않는다”고 말했다.

다시 끓였다.

해법은 게으른 상사의 태도를 바로잡으면서 감자탕의 맛을 높이는 것이다.

실제로 장사는 계속 실패하자 모자사장님은 지쳐가는 모습을 보였고, 백종원은 아들사장님을 질책하며 “열정 없이 요식업을 할 수 없다”며 태도 개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를 기회로 삼은 모자 리더는 스스로 반성하고 적극적으로 해결책을 구상했다.

이후 다양한 모습으로 부지런히 연구하며 감자탕과 백본갈비탕의 완성된 맛을 완성했다.

대청마루 감자탕은 아직 영업 중이며 기존 매장에서 가까운 곳으로 이전했습니다.

정가네팥칼국수


백종원골목식당-맛집-홍제동문화마을-징가네팟칼절단고기


백종원골목식당-맛집-홍제동문화마을-징가네팟칼절단고기
백종원골목식당-맛집-홍제동문화마을-징가네팟칼절단고기

주소: 서울시 서대문구 세무서 7길 1층
영업 시간:11:00~21:00
휴무일: 없음
전화번호: 서울시 서대문구 세무서 7길 1층
메뉴 : 팥칼국수, 팥당면, 바지락칼국수
기타 : 당분간 쉬지 않습니다.

부부가 운영하는 식당으로 팥칼국수, 온새미, 들깨초밥 등 다양한 메뉴를 판매한다.

팥과 들깨는 중국산, 나머지 재료는 국산이라 방송 내내 부부의 상사가 의견이 맞지 않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조개살을 맛본 백종원은 “어디서나 먹을 수 있는 평범한 칼국수”라고 말했다.

팥 옹심이는 “팥 맛이 약하고, 옹심이를 모델로 삼아 아쉽다”며 아쉬움을 드러냈다.

가난하고 피부가 벗겨지고 있습니다.

백종원은 팥죽을 연구해 맛을 업그레이드할 것을 제안했다.

부부 장사꾼들은 시간 날 때마다 다양한 팥죽 가게들을 비교 분석한다.

그리고 조리방법을 바꿔서 새로 만들었는데 역시나 아쉬웠습니다.

이에 백종원은 진한 팥 베이스와 차조기 국수 비법을 알려준다.

하지만 여상사는 다소 복잡하고 공들인 이 레시피를 읽고 “안 된다”는 말을 그만둔 듯했다.

솔루션의 지속 속에서도 그들은 여전히 ​​원래의 방법을 고집했고, 모두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가격을 인상하기까지 했습니다.

원가와 각종 레시피에도 불구하고 이들은 “숙제가 아니라 비결을 알려달라”며 일관되게 비협조적이었다.

결국 국내산 팥을 사용한 것 외에는 변화가 없었다.

정가네팥칼국수는 지금도 장사를 하며 단골들의 사랑을 이어가고 있다.